이것저것

퇴사자 + 개인사업자 연말정산

후릇츠 2021. 1. 24. 10:04

작년 2월 퇴사를 했다.

세계여행을 가려고 했던 내 계획은 무산이 되었습니다.

 

애프터 코로나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대기업 10년차 과장. 버리기 어려웠지만, 우선 내가 살고 봐야하니깐.

힘든 시간을 더 이상 이겨낼 힘이 없었던 것 같습니다.

 이야기는 차차 한해 보기로 하겠습니다.

 

 

2020년 2월 퇴사자는 언제 연말 정산?

어쨌든. 퇴사 후, 많은 것을 혼자 처리해야했고, 1년이 지나서도 아직도 나는 퇴사자로서

알아야 할 것을 배우고 있습니다.

 

매년 1월. 부서 담당자에게 연말정산 서류 간단히 출력해서 제출하면 끝이었던 것을..

2019년 소득은 2020년 1월에 연말정산을 마지막으로 하고 퇴사했습니다.

 

퇴직일은 2월 10일. 내 생일이었습니다.

 

퇴직금은 2월에 받았기 때문에 소득이 생긴 셈이었습니다.

 

어떤 분을은 '중도퇴사자' 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꼭 중도 포기한 느낌이 들어,,썩 어감이 좋지 않은 것 같습니다.

 

그리고, 스마트 스토어로 번 돈 약 20만원 남짓. 나름 개인 사업자도 냈습니다.

 

그러다 보니 어떻게 해야할지 막막했습니다.

 

 

가장 명쾌한 답변을 얻을 수 있는 곳은?

내가 이런 문제를 처리할 때, 애용하는 번호입니다.

 

126 (홈택스)

연말 정산 뿐 아니라, 세금 관련한 문의는 모두 이곳에서 하시면 됩니다.

세무서를 구지  찾아가지 않아도 됩니다.

그리고, 연말정산에 관해서는 랜덤으로 여러 세무서 담당자에게 바로 연결됩니다.

이 부분에서 약간 놀랐습니다.

전담 상담원을 둘 줄 알았는데,

연결까지 총 3번의 전화를 했을 때, 고양세무서 동작 세무서 등

각각 다른 세무서 담당자에게 연결이 되었습니다.

 

 

꽤 효율적인 시스템인 것 같습니다.

 

Tip!

조금 더 부연설명을 하면,

부동산 관련, 증여 등 여러가지 기본적인 세법 상담도 가능합니다.

그리고 전문 세무사가 아니기 때문에

복잡한 문제이거나 조금 더 확실한 답변을 얻고 싶을 때,

2명~3명의 상담원과 상담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이유는, 신입사원 시절을 겪어본 분들은

딱 그사람의 목소리만 들어도목소리가..왠지 정신없고, 확신이 없습니다^^;;

신입사원인 것 같다. 라는 생각이 드는 사람이 있을 것입니다.

 

그동안 수십번의 통화 결과,
돌다리도 두들겨 가는 것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내렸습니다.

조금 피곤해도, 전화통화니깐 기다리고
확인 통화를 합니다.

정말 복잡하다면
당연히 세무사 상담을 하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hometax 종합소득세

 

그럼 어떻게 해야할까?

 

얻은 답변은 퇴직금도 소득이기 때문에,

2021년 5월에 종합소득세 신고기간에

퇴직소득 + 개인사업자 소득 을 합쳐서

신고하면 된다고 합니다.

 

 

5월 종합소득세

신고 기간을 놓치지 않도록

메모해두어야 할 필수!! 정보입니다~

 

 

회사 다닐 때, 연말 정산을 했던 것보다는 약간 복잡하다고 하던데,,
5월에 준비를 하면서 포스팅해 볼 예정입니다!

 

 

 

 

 

 

 

 

미리미리 가입하기
728x90
반응형